본문 바로가기

신약2

한약 제형 - 2. 현대의 제형 지난 글에서 전통적인 한약의 제형에 대해 다루어보았다. 예나 지금이나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탕제, 산제, 환제 등도 있는가 하면 예전엔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제형들도 있었다. 또한 시대가 발전하고 변하면서 한약의 제형도 현대화 및 다양화되었다. 그럼 현대에는 어떤 형태의 한약을 볼 수 있을까? https://daily-hanny.tistory.com/29 한약 제형 - 1. 전통적 제형 한의원(병원)이나 약국, 또는 한약국 등에서 한약을 구입할 때, 상당히 여러 종류의 한약을 접할 수 있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팩에 담긴 탕약 형태나 공진단 등의 동그란 환제 형태 이외에도, daily-hanny.tistory.com *전통적 제형에 관한 글은 위 링크를 참조 2. 현대적 제형 0) 탕제.. 2024. 2. 5.
은교산, 함부로 복용해도 되는 약일까? 기침, 편도염, 인후염으로 인한 목 아픔, 가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흔히 '목감기'라고 한다. 이러한 목감기에 걸려 약국에 가면 가장 많이 처방해주는 약 중 하나가 한약에 속하는 '은교산'이다. 물론 약국에서는 알약 등 다른 형태로 포장되어 나오는 제품을 취급하기는 하지만, 구성 약재 자체는 한약과 동일하다. 코로나19 한의약 치료 수단으로도 잘 알려져있고, 1회당 2개 캡슐을 복용하는 약으로 유명하기도 하여 아마 접해본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런데, 은교산은 아무나 사먹어도 별 문제가 없는 것일까? 일단 은교산의 주요 구성 약재(본초)를 살펴보면, 금은화, 연교, 우방자, 길경, 박하, 형개, 담두시, 죽엽, 감초 등이다. 금은화와 연교는 청열해독약으로, 몸의 열을 식혀주고 해독을 담당한다. 죽엽은 .. 2023.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