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 공부5

빌리루빈이 뭔데?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하면, 반드시 간수치 검사를 시행한다.다양한 지표가 있는데, 그 중 '황달'과 가장 관련이 깊은 빌리루빈 수치를 살펴보자.우선 황달이란 것은, 드물지 않게 들어볼 수 있는 질환이다. 황달(黃疸, Jaundice)이란, 얼굴빛이나 눈의 흰자위 부분이 노랗게 변하는 병을 말한다. 1.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높으면 황달이다. 빌리루빈은, 혈액 속 적혈구가 파괴될 때 생성되는 색소이다. 2. 근데 황달은 종류가 크게 두 가지이다. 용혈성 황달과 폐색성 황달이 있다. 3. 간접빌리루빈 수치 높음 = 용혈성 황달직접빌리루빈 수치 높음 = 폐색성 황달 와! 끝! ...그래서, 간접 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이 뭔데? 용혈성은 뭐고 폐색성은 또 뭔데? 왜 지만 아는 얘기를 늘어놓나? 진정하시고 들어보.. 2025. 4. 6.
한약 제형 - 2. 현대의 제형 지난 글에서 전통적인 한약의 제형에 대해 다루어보았다. 예나 지금이나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탕제, 산제, 환제 등도 있는가 하면 예전엔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제형들도 있었다. 또한 시대가 발전하고 변하면서 한약의 제형도 현대화 및 다양화되었다. 그럼 현대에는 어떤 형태의 한약을 볼 수 있을까? https://daily-hanny.tistory.com/29 한약 제형 - 1. 전통적 제형 한의원(병원)이나 약국, 또는 한약국 등에서 한약을 구입할 때, 상당히 여러 종류의 한약을 접할 수 있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팩에 담긴 탕약 형태나 공진단 등의 동그란 환제 형태 이외에도, daily-hanny.tistory.com *전통적 제형에 관한 글은 위 링크를 참조 2. 현대적 제형 0) 탕제.. 2024. 2. 5.
한약 제형 - 1. 전통적 제형 한의원(병원)이나 약국, 또는 한약국 등에서 한약을 구입할 때, 상당히 여러 종류의 한약을 접할 수 있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팩에 담긴 탕약 형태나 공진단 등의 동그란 환제 형태 이외에도, 가루약, 액상형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조제 및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예전에 비해 훨씬 다양한 제형의 한약이 개발되는 추세이기도 하다. 그러면 이런 약의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 제형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자. 1. 전통적 제형(1,2,3번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제형) 1) 탕제(湯劑) -제형 : 약재를 맑은 물이나 황주(술) 혹은 술과 물을 섞은 용액에 침투시킨 후 적당한 불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끓인 형태. (가장 유명하고 전형적인 형태) *내복(먹어서 복용) 및 외용(환부 등에 .. 2024. 2. 3.
해부학 3D 시뮬레이션 사이트 해부학 공부에 도움이 될 사이트가 있다. 3D 시뮬레이션으로 인체를 살펴볼 수 있다 https://human.biodigital.com/explore Human Anatomy and Disease in Interactive 3D | BioDigital Human Platform human.biodigital.com 계통(기관계, system)별, 구역(region)별로 등 여러 기준으로 몸의 기관들이 분류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고 싶은 부위는 커서를 갖다대서 우클릭하면 나오는 창에서 'read more'을 클릭하면 해당 부위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더불어 해당 부위를 'hide'를 클릭해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고, 'isolate'를 클릭해 따로 떼어 볼 수도 있다. 간단한 이.. 2021. 12. 27.